진료안내
이용안내
건강정보
병원안내
비만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근골격계질환, 각족 암 등의 주요 위험요인이 됩니다. 비만의 평가에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법, 피부 주름 두께(Skinfold thickness)측정법, 허리둘레 측정법, 전기저항 체지방 측정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가장 보편적이니 방법은 체질량지수법과 허리둘레 측정법입니다.
신체 계측 이외에 내분비 질환이나 유전적 질환으로 인한 증상을 찾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또한 비만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수면 무호흡증, 퇴행성 관절염, 당뇨병 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합니다. 검사실 검사로는 일반 화학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혈청 지질, 혈당 검사, 소변 검사,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비만클리닉에서는 이러한 검사와 함께 동맥경화 위험도에 대한 정밀 검사를 통해 현재 비만의 위험 상태까지 평가합니다.
고혈압, 고지혈증, 제 2형 당뇨병, 대사증후군 같은 심혈관계 위험 요인을 동반하게 되기 쉬우며, 뇌졸중의 위험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 불임, 월경 이상 등과 같은 부인과 질환과도 연관이 있으며, 출산시의 건강상의 문제와 태아 이상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비만은 호흡기계에도 악영향을 주는데 수면 무호흡증과 연관이 있으며, 폐성 고혈압, 수술 후 위험 증가 등이 있습니다. 요통의 위험증가와 같이 근골격계 이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골관절염과 통풍의 발생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만의 암 상대위험도는 남성은 1.3배, 여성은 1.5배로 나타났으며, 담즙에 분비되는 콜레스테롤의 증가로 담석의 발생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지방간 또한 흔한 소화기계 질환입니다.
약물 요법에 앞서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등의 비약물 요법을 시행하며, 3개월 이상 시행했음에도 체중감량이 없다면 약물요법을 고려합니다.
식사요법은 우선 목표 체중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체중을 10~15%만 감소시켜도 비만 관련 질환이 크게 호전됩니다. 식사 일지 기록은 치료 전 영양평가는 물론 치료 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매일 섭취하는 식품의종류와 양을 기록하다 보면 음식 섭취와 체중과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며, 식사 습관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총 섭취 열량 제한이 중요하며, 이것은 개별화하여 적용합니다. 지방은 총 열량의 25% 이내로 섭취하며, 탄수화물 섭취는 총 섭취열량의 50~60%가 권고됩니다. 체중 1kg당 1.0~1.5g의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며, 비타민과 무기질 결핍에 주의합니다. 음주 빈도와 음주량 또한 제한이 필요합니다.
운동 요법은 체중 조절을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이 권장되는데, 걷기, 산책, 자전거 타기, 고정식 자전거, 수영 등 저충격 운동이 좋습니다. 달리기, 점프, 줄넘기와 같이 고충격 운동은 삼가도록 합니다. 운동을 처음 시작한다면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맨손 체조 등)을 포함하여 약 20분에서 시작하여 2주 간격으로 10분씩 늘려서 약 1시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운동 빈도는 처음 시작하는 경우 1주일에 3회에서 시작하여 2주 간격으로 늘려서 5회 이상 하도록 합니다.
운동 강도는 처음 시작하는 경우 낮은 강도에서 시작하여 2주 간격으로 점차 늘려서 중등도의 강도를 유지합니다. 이는 최대 심박수(220-연령)의 50%에서 시작하는데 대개 속옷에 땀이 밸 정도나 옆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정도입니다. 이후 강도를 늘려 8주 후에는 최대심박수의 75%에 도달하도록 합니다.
Copyright(c) myongji hospital.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