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안내
이용안내
건강정보
병원안내
7~8월 휴가철을 맞이하면서 야외로 나가는 시기입니다.
무더위로 인해 바다를 많이 찾는 여름철은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주의해야 하는데요.
비브리오균은 5~6월 발생하기 시작하며,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는 8~9월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이 균은 장염,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며, 치사율이 높아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감염된 어패류를 섭취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해 감염될 수 있는 병입니다.
여름철 해수면의 온도가 18도 이상 올라가는 5~6월 발생을 시작으로, 8~9월 중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전국 최근 5년간(2018~2022) 비브리오 패혈증 발생건수는 총 257건으로, 이 중 6~9월 발생 수는 199건(77.4%)이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 원인
비브리오 패혈증은 오염된 해산물을 날 것이나 덜 익힌 상태로 섭취하거나 상처가 난 피부를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했을 때 주로 감염이 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
브비브리오 패혈증은 약 16~24시간의 잠복기 후에 급성 발열, 복통, 오한,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증상 발현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합니다.
피부 병변의 경우 주로 하지에 발생하며, 발진과 부종으로 시작해 수포, 출혈성 수포를 형성한 후 점차 범위가 확대되면서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됩니다. 사망률이 50~90%로 매우 높으며, 대부분 패혈증이 장기 부전으로 진행하면서 사망하게 됩니다.
특히 비브리오 패혈증은 만성 간질환자, 알코올 중독자, 면역저하 환자 등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고위험군의 치사율이 50%로 매우 높기 때문에 고위험군에서는 더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고위험군>
-간 질환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알코올 중독자
-부신피질 호르몬제, 항암제 복용 중인 경우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 환자
-면역결핍 환자
단, 건강한 사람에서 비브리오균에 감염됐을 때 패혈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에 오염된 어패류를 섭취했을 때나, 해수에 오염된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데 건강한 사람은 식중독처럼 설사 정도로 가볍게 앓고 지나갑니다.
항생제를 통한 약물치료 또는 괴사했거나 괴사가 진행되고 있는 신체 조직을제거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진행 속도가 빠른 질환으로 신속하게 치료를 한다고 해도 사망률은 50% 이상으로 매우 높고, 저혈압이 발생하면 90% 이상으로 증가합니다.
단, 패혈증 없이 상처감염만 있을 경우에는 대부분 완치가 됩니다.
1.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고, 특히 기저질환자는 어패류를 날 것으로 섭취하지 않습니다.
2. 예방을 위해 어패류는 5℃ 이하로 저온 보관하고, 85℃ 이상 가열하여 충분히 익혀 먹습니다.
3. 피부에 상처가 있다면 바닷물과 접촉하지 않습니다.
4. 냉동 어패류는 냉장고에서 안전하게 해동하고, 깨끗한 물로 씻습니다.
5. 어패류를 다룰 때는 장갑을 착용합니다.
6. 다른 음식이 오염되지 않도록 날 생선을 요리한 도마, 칼은 재사용 하지 않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발병 24시간 이내 얼마나 빨리 대처했느냐에 따라 예후가 달라집니다.
특히 면역저하자, 만성간질환, 당뇨병, 알코올중독 등 고위험군에게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분들은 여름철 어패류를 날것으로 섭취하는 것은 피하고, 먹는다면 충분히 익히거나 끓여 먹는 것이 안전합니다.
진료일자 및 시간은 병원의 사정에 의해 추후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전문진료분야 비만, 만성피로, 금연, 평생건강관리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오전 | 1주 | |||||
오후 |
Copyright(c) myongji hospital. all right reserved.